돌풍이 몰랐던 불교문화 16
간단한 불교용어 해설
* 불교의 4대 성지(聖地)
1) 탄생지 : 룸비니동산
2) 성도지 : 부다가야
3) 초전법륜지 : 사르나드(녹야원)
4) 열반지 : 쿠시나가라
* 불교의 4대 기념일
1) 불탄일 : 음 4월 8일 (BC624년경)
2) 출가일 : 음 2월 8일
3) 성도일 : 음 12월 8일
4) 열반일 : 음 2월 15일
※ 우란분재일(백중) : 음 7월 15일 --> 5대 기념일
* 사부대중
1) 비 구 : 20세 이상으로서 구족계(250계)를 받은 남자스님
2) 비구니 : 20세 이상으로서 구조계(348계)를 받은 여자스님
3) 우바새 : 5계 혹은 보살계를 받은 남자신도 = 거사, 청신남
4) 우바이 : 5계 혹은 보살계를 받은 여자신도 = 보살, 청신녀
※ 행자 : 아직 스님이 되지않고 절에 있으면서 여러 일을 돕는 사람
* 부처님의 10대 제자
1) 사리불존자 - 지혜(智慧) 제일
2) 목련존자 - 신통(神通) 제일
3) 마하가섭존자 - 두타(頭陀) 제일
4) 아나율존자 - 천안(天眼) 제일
5) 수보리존자 - 해공(解空) 제일
6) 부루나존자 - 설법(說法) 제일
7) 가전연존자 - 논의(論議) 제일
8) 우바리존자 - 지계(持戒) 제일
9) 라훌라존자 - 밀행(密行) 제일
10) 아난존자 - 다문(多聞) 제일
* 삼신불(三身佛)
1) 법신불(法身佛, 청정법신 비로자나불) : 진리 본체
2) 보신불(報身佛, 원만보신 노사나불) : 과거생의 수행의 결과로 나타난 부처님 예) 아미타불, 약사여래불
3) 화신불(化身佛, 천백억화신 석가모니불) : 인간의 몸으로 化하여 나타난 부처님
* 불교의 신앙
1. 부처님의 힘에 의한 구제 방법 (他力門)
- 관음신앙
- 아미타신앙(정토신앙)
- 미륵신앙
- 지장신앙
1) 지장보살의 특징
ㄱ. 성불(成佛)을 포기한 보살
ㄴ. 무불시대(無佛時代)의 구세주
ㄷ. 業을 소멸시켜주는 보살
ㄹ. 몸을 나투는 보살
ㅁ. 성문(聲聞)의 모습을 한 보살
ㅂ. 대승보살 가운데 가장 탁월한 구제력을 지닌 보살
2) 지장보살이 대중들에게 신앙된 까닭
ㄱ. 말법사상의 출현과 파지옥 사상
ㄴ. 본원사상(本願思想)
ㄷ. 회향사상(廻向思想)
3) 지장신앙의 대중적인 수행법 : ㄱ.염불 ㄴ.참회 ㄷ.회향
4) 지장보살과 관련 의례
지장십재일 : 1, 8, 14, 15, 18, 23, 24, 28, 29, 30일
2. 수행에 의한 구제 방법 (自力門)
- 불교의 수행법 종류 : 참선, 간경, 사경, 염불, 주력, 정근, 기도, 자자와 포살 등
* 참선(參禪)
ㄱ. 위빠사나(Vipassana) : 동남아시아의 남방불교권에서 행해지고 있는 수행법
ㄴ. 간화선(看話禪) : 북방아시아권에서 행해지며, 화두(話頭)를 참구하는 수행법
* 참선할때의 3요소
ㄱ. 조신(調身) : 참선의 몸자세
ㄴ. 조식(調息) : 참선시의 호흡법 - 수식관
ㄷ. 조심(調心) : 화두드는 방법
* 수식관(數息觀) : 참선시 호흡을 관찰하며 공부하는 법
* 부정관(不淨觀 ) : 육체의 부정한 모습을 떠올리며 탐욕과 애욕을 조절하도록 하는 수행법
* 간경(看經) : 경전을 보고 읽는 수행법
* 사경(寫經) : 경전을 정성들여 쓰면서 이해하고 외우면서 세상에 전하는 일
(현대적 의미 : 과거에는 경전의 유통보급을 중시했으나,현대는 서사(書寫)의 공덕을 강조한 신앙적인 면을 더 중시여김)
- 사경의 종류 : ㄱ. 묵서경(墨書經) - 먹으로 쓴 경전
ㄴ. 금자경(金字經) - 금가루로 쓴 경전
ㄷ. 은자경(銀字經) - 은가루로 쓴 경전
ㄹ. 수예경(手藝經) - 바늘로 수를 놓아 쓴 경전
- 제본형태에 따라 : ㄱ. 권자본(卷子本) - 두루마리 형태 ㄴ. 절첩본(=첩장본) - 병풍 형태 ㄷ. 선장본 - 족보책 형태
* 염불(念佛) : 부처님(또는 보살님)을 마음속으로 항상 생각하는 수행법예) 나무아미타불
ㄱ. 법신염불 : 부처님이 깨달으신 진리를 생각하는 염불
ㄴ. 관념염불 : 부처님의 공덕이나 모습을 마음에 그려보는 염불
ㄷ. 칭명염불 : 부처님의 명호를 부르는 염불 --> 흔히 쓰이는 염불임
* 정근(正勤) : 선법(善法)을 더욱 자라게 하고 악법을 멀리 여의려고 부지런히 수행하는 정진
* 기도 : 불보살님의 위신력을 찬탄하고 다생에 지은 모든 업장을 참회하며 감사하는 마음으로 일체중생과 함께 하기를
발원하고 회향하는 수행
* 불교에서 절(拜)을 하는 의미
1) 삼보에 대한 예경과 상대방에 대한 존경을 표하고자
2) 하심(下心 : 자신을 낮추는 마음)을 하고자 (3) 참회하고자 (4) 기도발원하고자
5) 무아(無我)의 경지에 들고자
* 절의 공덕
1) 절을 많이하면 아름답고 건강한 신체를 얻는다.
2) 남들로부터 신뢰를 받는다.
3) 스스로 두려움이 없어진다.
4) 불보살님이 항상 보호해주신다.
5) 훌륭한 위엄을 갖추게 된다.
6) 모든 사람에게 호감을 주게 된다.
7) 죽어서는 극락에 태어난다.
8) 마침내는 깨달음을 얻는다.
* 오체투지(五體投地) : 양팔꿈치, 양무릎, 이마의 5부분이 땅에 닿게 하여 자신을 무한히 낮추면서 상대방에게 최대의
존경을 표하는 가장 경건한 예법.
* 고두례(叩頭禮 =유원반배) : 세 번째 절을 하고 일어서기전에 한다. 부처님에 대해 무수히 예경하고픈 간절한 마음을
여기서 마치게 되는 아쉬움을 표하는 방법으로,이 순간 발원을 한다
* 우슬착지법 : 법당밖이나 야외에서의 예배법
* 합장(合掌) : 두 손바닥을 마주 합치는 불교의 예법. 두손을 통해서 나의 마음을 모으고 나아가서 나와 남이 둘이 아니라
하나의 진리위에 합쳐진 동일한 생명이라는 의미.
* 차수(叉手) : 도량에서 평상시 손을 쓰지 않을 때 하는 자세. '손을 교차한다'라는 뜻.
* 사찰 : 승가람마(Sangarama)의 준말
* 세계최초의 사찰 : 죽림정사
* 일주문(一柱門) : 사찰의 첫 번째 통과하는 문.
기둥이 한줄로 늘어선 모양으로 세속의 번뇌와 흩어진 마음을 하나로 모아 진리의 세계로 들어간다는 문.
* 천왕문(天王門) : 불법을 수호하는 사천왕을 모신 건물
※ 사천왕(四天王) : 지국천왕 - 동쪽수호. 보검(칼)을 들고 있음.
증장천왕 - 남쪽 수호. 오른손에 용, 왼손엔 여의주
광목천왕 - 서쪽 수호. 삼지창과 보탑을 들고 있음
다문천왕 - 북쪽 수호. 비파를 들고 있음.
* 불이문(不二門 해탈문) : 이 문에 이르면 부처님의 세계이므로,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니며 생과 사가 둘이 아닌 완전한
세계에 들어선다는 뜻.
* 대웅전(大雄殿) :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모신 법당.
* 대적광전(大寂光殿) : '비로자나불'을 주불로 모신 법당.
* 극락전(極樂殿) : 극락정토의 주재자인 '아미타불'을 모신 법당. (아미타불의 전생: 법장 비구)= 무량수전, =미타전 예) 부석사
* 미륵전(彌勒殿) : 미래의 부처님인 '미륵불'을 모신 법당. =용화전(龍華殿), =자씨전(慈氏殿)
* 원통전(圓通殿) : '관세음보살'을 모신 곳. =관음전, =대비전(大悲殿)
* 약사전(藥師殿) : '약사유리광여래'를 모신 곳. =만월보전, =유리광전, =보광전
* 팔상전(八相殿) : 석가모니불의 일생을 8가지로 나누어 그린 그림을 봉안한 곳. =영산전
* 나한전(羅漢殿) : 석가모니불의 제자로 아라한과를 성취한 성인, 즉 나한을 모신 건물.
석가모니불이 주불로, 그 좌우에 16 또는 500명의 나한이 배치됨 =응진전
* 명부전(冥府殿) : '지장보살'을 모신 법당. =지장전, =시왕전(十王殿)
※ 시왕(十王) : 1.진광왕 2.초강왕 3.송제왕 4.오관왕 5.염라왕 6.변성왕 7.태산왕 8.평등왕
9.도시왕 10.오도전륜왕
* 대장전(大藏殿) : 대장경을 보관하기 위해 만든 전각. 예) 금산사 대장전
* 적멸보궁(寂滅寶宮) : 석가모니불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불전
※ 한국의 5대 적멸보궁
1. 영취산 통도사 적멸보궁 2. 태백산 정암사 3. 사자산 법흥사 4. 오대산 중대암 5. 설악산 봉정암
* 조사당(祖師堂) : 조사의 영정을 모신 곳.
※ 국사전 : 國師가 배출된 절에서 모신 전각. 예) 송광사 국사전
* 삼성각(三聖閣) : 1.산신 2.독성 3.칠성의 세분을 모신 곳
이곳은 불교유입이전의 우리나라 토속신을 그대로 수용하여 모신 곳이다.
* (범)종각(鐘閣) : 범종을 달아 놓은 곳
※ 불전사물(佛前四物)
1) 범종(梵鐘) : 천상과 지옥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치며, 아침에 28번, 저녁에 33번 침.
2) 법고(法鼓) : 짐승을 비롯한 중생의 어리석음을 깨우치게 하기 위하여 침.
3) 운판(雲板) : 공중을 날아나니는 중생과 허공을 떠도는 영혼을 제도하기 위해 침.
4) 목어(木魚) : 물속에 사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침.
* 탑(塔 Satupa) : 원래는 탑속에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하였으나, 이 후에는 경전, 다라니를 넣어 경배함.
탑은 홀수층으로만 형성.
※ 중국 : 전탑(塼塔 벽돌탑), 일본 : 목탑, 한국 : 석탑이 발달
* 금강계단(金剛戒壇) : 수계의식을 집행하는 장소. 예) 통도사
* 부도(浮屠) : 고승의 사리를 모신 조형물.
* 요사(療舍)채 : 스님들의 생활과 관련되는 대부분의 조형물
* 법당내 구조 : 법당은 통상 상단, 중단, 영단의 삼단구조로 이루어져 있음
1) 상단(上壇) : 부처님과 보살상을 모신다. =불보살단, =불단
2) 중단(中壇) :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선신들을 모신다. = 신중단
3) 영단(靈壇) : 영가의 위패를 모셔놓은 단상. =하단.
* 단청 : 목조건물의 부식이나 훼손을 방지하고, 건축물을 보다 아름답게 꾸미고자 칠함.
* 불교탱화
1) 탱화 : 비단 또는 베의 바탕에 불보살의 모습이나 경전내용을 그려 벽 같은데다 걸도록 그린 그림
2) 경화(經畵) : 불경에 그린 그림. =변상도
3) 심우도(尋牛圖) : 수행자가 정진을 통해 불성을 깨달아가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일에 비유해서 그린 선화(禪畵)
=십우도(十牛圖) =목우도(牧牛圖)
4) 괘불(掛佛) : 법당밖에서 불교의식을 행할 때 걸어 놓은 예배용 그림.
* 염주(念珠 Japmala)
"번뇌의 구름을 벗기고 불행의 바람을 멈추려 하는가. 염주알 108개를 꿰어 108염주를 만들라.
이 108염주를 헤아리며 염주알 하나하나마다 부처의 이름을 불러라. 앉거나 서거나 길을 가거나....
이렇게 20만번만 108염주를 돌리게 되면 번뇌의 구름은 벗겨지고 불행의 바람은 더 이상 불어오지 않는다.
-- <木 子經>중에서
"극락정토에 태어나고자 하는가. 염주알을 돌리며 부처님의 이름을 불러라.
그러나 염주만을 몸에 지니고 있을 뿐 전혀 염불을 하지 않는가. 염려하지 말라.
염주를 지니고 있다는 그 자체로서도 염불공덕과 다를 바 없는 가피를 입는다.
만일 108개의 염주알이 없거든 그 절반인 54개도 무방하다. 그러나 이것마저 넉넉치 않거든 27개,
14개도 상관없다." -- <數珠功德經>중에서
※ 염주의 종류
ㄱ. 단주(短珠) : 짧은 염주. 염주알이 14개, 27개
ㄴ. 중주(中珠) : 중간 염주. 염주알이 54개
ㄴ. 백팔염주 : 염주알이 108개
ㄴ. 장주(長珠) : 긴 염주. 염주알이 1080개
* 죽비 : 목탁과 같이 선방에서 앉고 일어서고, 입선(入禪)과 방선(放禪) 그리고 공양할 때 행동통일을 알리는 도구
* 불교기(佛敎旗) : 불교기는 처음 스리랑카에서 1882년 영국인 불교도 올코트대위가 창안1950년 스리랑카에서
열린 '세계불교도우의회'에서 정식 승인됨.
'석가모니 초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풍이 몰랐던 불교문화 18 (0) | 2012.03.28 |
---|---|
돌풍이 몰랐던 불교문화 17 (0) | 2012.03.22 |
돌풍이 몰랐던 불교문화 15 (0) | 2012.03.14 |
돌풍이 몰랐던 불교문화 14 (0) | 2012.03.09 |
돌풍이 몰랐던 불교문화 13 (0) | 2012.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