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북천 꽃양귀비 축제

발길 가는대로417

3.1절을 기억하며 찾은 영산 3.1민속문화제 2023년 3월 1일 (3.1절 날) 코로나로 인하여 지방의 모든 문화행사가 취소되었다가 올해부터 서서히 기지개를 켜면서 되돌아온 영산 3.1 민속문화제 까마득히 생각도 못하고 있었는데 2월 28일 날 행사가 열린다는 소식을 접하고는 아침 먹고 마누라님과 함께 영산으로 출발을 했다. 2015년에 영산 인근에 농가주택을 구입하여 소일 삼아 즐겼던 추억도 있고 해서 당시 아랫잡의 형님도 뵐 겸 선물을 준비하여 형님댁을 먼저 찾아가 형님을 뵙고는 또 돌풍의 피와 땀이 담겨있는 그 집을 찾아가 집은 허물고 새로 지었지만 돌풍이 만들고 심었던 정원수와 과일나무는 이제 10년이 되어 거목이 되어있었다 ㅎㅎㅎ 그렇게 옛 농가주택을 돌아보고는 3.1 민속문화제가 열리는 영산 무형문화재 놀이마당으로 향했다 3.1절을 맞.. 2023. 3. 3.
단양 잔도길을 걸으면서 2022년 11월 27일 눌레 길모임에서 단양으로 가는 날이다 한 달에 한 번의 둘레길 산책이지만 예전에는 젊어서 모두 산악회원들이었지만 이젠 산행이 힘들어 하나둘 둘레길 모임에 동참하는 분위기로 변해버렸다. 그러나 돌풍은 지금도 지리산 천왕봉을 당일치기로 산행을 가고 싶지만 함께 갈 친구가 없다 ㅎㅎㅎ. 그러다 보니 이젠 발길이 지인들이 하고 있는 둘레길에 닿게 되고 월 1 회지만 그날이 기다려지기도 한다 2022. 11. 28.
밀양의 단풍명소를 가다 2022년 11월 21일 밀양의 누님 댁에 가는 길에 들린 금시당과 백곡재 은행나무 단풍을 구경하기로 한다 아침 일찍 마눌님과 함께 가는 길에는 창원을 벗어나자 짙은 안개로 앞이 잘 보이질 않아 걱정도 했었지만 밀양에 들어서니 안개가 걷히고 전날 내렸던 비에 젖은 가로수가 환상적인 모습으로 닦아오고 있다 (사진을 클릭하면 화면이 크게 확대됩니다) 2022. 11. 23.
아우와 함께한 진해 역사여행 2022년 10월 29일 오랜만에 진해에서 택시영업을 하고 있는 아우님의 전화를 받았다. 3일간 쉬는데 시간 있으면 진해로 와서 차를 한 잔 하던 지 하면서 놀러 오라고 한다. 점심때 안경점에 갈 일이 있어 볼일을 보고 진해로 GOGGO 그렇게 진해에서 아우를 만나 산악회 회장님이 운영하는 카페에 들러 차도 한 잔 하고 진해 본토박이인 아우가 시내의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진해의 생각지도 못했던 역사여행이 시작되었다.ㅎㅎㅎ 때마침 토요일이라 진해에는 축제가 열리고 있어 거리는 부산하다 아우와 함께한 토요일 오후에 역사도 배우고, 축제도 즐기고, 또 함께 차도 마시며 이야기도 나누고 저녁까지 맛있게 먹고 왔으니 삶이 행복함을 느낀 날이었습니다 2022. 10. 30.
13년 만에 가는 진주유등축제 2022년 10월 11일 대학 평생교육원에서 서각 공부를 마치고 갑자기 마눌님과 함께 진주 유등축제를 가기로 했다. 수요일은 가정의 날이라 아무래도 사람이 많을 것 같고 목요일은 금요일에 다른 일정이 있어 더 바쁠 것 같아서이다. 그러다 보면 주말에는 엄청 사람이 많으니 모든 게 힘들어지겠지 ㅎㅎㅎ 그래서 돌풍이 생각한 날이 바로 11일 날이다. 오후 6시경에 출발을 하는데 고속도로는 시원하게 뚫렸고 축제장에 도착하니 가까운 거리에 주차까지 하게되니 정말 내 생각이 제대로 맞아떨어졌다고 생각한다 ㅋㅋㅋ 2022. 10. 13.
영남대학의 민속촌을 둘러보고 영남대학교 내에 민속촌이 있는 줄을 몰랐었는데 추석 전 빅토리아 연꽃을 촬영하러 갔다가 자투리 시간에 교정을 구경하다가 소나무 숲 속에 기와집을 발견하고 다가갔더니 생각지도 못했던 민속촌이 있었네 ㅋㅋㅋ △구계서원(龜溪書院) 구계서원은 고려말 유학자인 역동 우탁(1262~1342) 선생을 모시기 위해 1696년(숙종 22년)에 건립했다. 원래 경북 안동시 월곡면 미질리에 있었으나, 안동댐 건설로 인해 1975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 왔다. 1871년(고종 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훼철됐다가 1897년에 강당만 지어 독 역재(讀易齋)라 명했다. 영남대학교 민속촌으로 옮길 당시에는 강당인 독역재 밖에 없었으나, 2000년 11월에 신위를 모신 묘우(廟宇)인 묘현사와 내삼문, 동·서재인 일신재와 시습.. 2022. 9. 15.